728x90
Original Source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085
3085번: 사탕 게임
예제 3의 경우 4번 행의 Y와 C를 바꾸면 사탕 네 개를 먹을 수 있다.
www.acmicpc.net
문제
상근이는 어렸을 적에 "봄보니(Bomboni)" 게임을 즐겨했다.
가장 처음에 N×N크기에 사탕을 채워 놓는다. 사탕의 색은 모두 같지 않을 수도 있다. 상근이는 사탕의 색이 다른 인접한 두 칸을 고른다. 그 다음 고른 칸에 들어있는 사탕을 서로 교환한다. 이제, 모두 같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는 가장 긴 연속 부분(행 또는 열)을 고른 다음 그 사탕을 모두 먹는다.
사탕이 채워진 상태가 주어졌을 때, 상근이가 먹을 수 있는 사탕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보드의 크기 N이 주어진다. (3 ≤ N ≤ 50)
다음 N개 줄에는 보드에 채워져 있는 사탕의 색상이 주어진다. 빨간색은 C, 파란색은 P, 초록색은 Z, 노란색은 Y로 주어진다.
사탕의 색이 다른 인접한 두 칸이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진다.
출력
첫째 줄에 상근이가 먹을 수 있는 사탕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.
사고의 흐름
더보기
- 시뮬레이션 구현 문제 + 브루트포스 같은데?
- N의 범위가 3 ≤ N ≤ 50 밖에 안 되니까 브루트포스가 맞다.
- 먹을 수 있는 사탕의 개수를 구하는 get_edible() 함수에서, cnt 변수를 0이 아니라 1로 초기화해야 한다.
- 그리고 줄이 바뀌면 사탕을 연속으로 먹을 수 없으므로 cnt 변수를 초기화해줘야 한다.
- 현재 사탕과 다음 사탕이 다를 때만 먹을 수 있는 사탕의 개수를 계산하면, 해당 줄의 사탕이 모두 같을 때는 사탕 개수가 계산되지 않는다. 그러므로 줄이 바뀔 때도 먹을 수 있는 사탕의 개수를 계산해야 한다.
내가 작성한 소스코드
# Pypy3로 제출
import sys
def solve(board, size):
# W, N, E, S | (i, j)
d = ((0, -1), (-1, 0), (0, 1), (1, 0))
result = 0
for i in range(0, size):
for j in range(0, size):
for (di, dj) in d:
if (0 <= i + di and i + di < size) and (0 <= j + dj and j + dj < size):
board[i][j], board[i + di][j + dj] = board[i + di][j + dj], board[i][j]
result = max(result, get_edible(board, n))
board[i][j], board[i + di][j + dj] = board[i + di][j + dj], board[i][j]
print(result)
return
def get_edible(board, size):
max_val = 0
for i in range(size):
cnt = 1
for j in range(size-1):
if board[i][j] == board[i][j+1]:
cnt += 1
else:
max_val = max(cnt, max_val)
cnt = 1
max_val = max(cnt, max_val)
for j in range(size):
cnt = 1
for i in range(size-1):
if board[i][j] == board[i+1][j]:
cnt += 1
else:
max_val = max(cnt, max_val)
cnt = 1
max_val = max(cnt, max_val)
return max_val
n = in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candies = [[""] * n for _ in range(n)]
for i in range(n):
candies[i] = list(sys.stdin.readline().rstrip())
solve(candies, n)
남이 작성한 소스코드
shkorea1004 님:
https://www.acmicpc.net/source/28129222
피드백
- 구현 문제를 풀 때 List를 출력하는 디버깅용 함수를 따로 만들어서 사용한 다음 제출 전에 함수 호출 부분만 주석처리해서 제출하면 편리하다.
- 구현 문제를 풀 때는 코드가 길어지면서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니 Logic마다 하나하나 출력해 보면서 풀어야 한다.
- 브루트포스처럼 반복문이 여러 번 중첩되는 문제들은 Pypy로 제출하자.
'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골드 4] 14502번: 연구소 (0) | 2022.09.19 |
---|---|
[골드 4] 1261번: 알고스팟 (0) | 2022.09.16 |
[골드 4] 14226번: 이모티콘 (0) | 2022.09.14 |
[골드 4] 13913번: 숨바꼭질 4 (0) | 2022.09.14 |
[실버 1] 1697번: 숨바꼭질 (0) | 2022.09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