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
BOJ

[골드 3] 9466번: 텀 프로젝트

Original Source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466 9466번: 텀 프로젝트 이번 가을학기에 '문제 해결' 강의를 신청한 학생들은 텀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. 프로젝트 팀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. 심지어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팀의 팀원인 경우와 같이 한 팀만 있을 www.acmicpc.net 문제 이번 가을학기에 '문제 해결' 강의를 신청한 학생들은 텀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. 프로젝트 팀원 수에는 제한이 없다. 심지어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팀의 팀원인 경우와 같이 한 팀만 있을 수도 있다.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기 위해, 모든 학생들은 프로젝트를 함께하고 싶은 학생을 선택해야 한다. (단, 단 한 명만 선택할 수 있다.) 혼자 하고 싶어하는 학생은 자기 자신..

C++

std::next_permutation() 사용법 정리

std::next_permutation() 입력받은 원소의 다음 순열을 구함 다음 순열이 존재하면 true, 존재하지 않으면 false를 반환 $ {}_n \mathrm{P}_n $ 순열 출력 #include #include #define N 4 int main(void) { int arr[N] = { 1, 2, 3, 4 }; do { for (int i = 0; i < N; i++) { std::cout

에세이

무언가를 배우는 법

최근에 깨달은 점이 하나 있는데, 아무리 사람들에게 많이 읽히고 내용이 좋은 스테디셀러라도 내가 이해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. 얼핏 들으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나는 이제야 이해했다. 사실 마음속으로는 알고 있었지만, 그래도 이 자료를 보고 지식을 쌓으면 어디 가서 아는 체 할 수 있겠지 하는 호승심 때문에 눈이 가리어졌었다. 무언가를 배우는 일은 남에게 나를 보이기 위해 하는 작업이 아니다. 나 자신이 내용을 체득해서 활용하려고 하는 작업이다. 그렇기 때문에 많이 배웠다고 한들 잘난 척하고 우쭐댈 필요는 없는 것 같다. 왜냐하면 이런 행동은 배움의 이유에 맞지 않아 무익하기 때문이다. 오히려 많이 배울수록 내가 근본적인 원리, 기본적인 토대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 살펴 점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. 배움에 시간..

선형대수학

행렬의 Subspace 정리

행렬 여러 개의 식을 하나로 묶어놓은 것 선형대수학에서 마주하는 행렬방정식은 $ A \mathbf{x} = \mathbf{b} $ 형태를 만족한다. $$ \begin{align} \begin{cases} 2x_1 + x_2 = 1 \\[2ex] 3x_1 - 2x_2 = 4 \end{cases} && \Rightarrow && \begin{bmatrix} 2 &1 \\ 3 &-2 \end{bmatrix} \begin{bmatrix} x_1 \\ x_2 \end{bmatrix} = \begin{bmatrix} 1 \\ 4 \end{bmatrix} \end{align} $$ Gauss-Jordan Elimination 행렬방정식에 일련의 연산을 가해 해를 구하는 방법 $ 0 $이 아닌 상수를 행에다 곱한다. ..

Park Joonyoung
'분류 전체보기' 카테고리의 글 목록